책정리/크리에이티브 프로그래머

크리에이티브 프로그래머 3장) 커뮤니케이션

뽀글보리 2024. 2. 1. 22:17
반응형

3장 커뮤니케이션

피렌체 카메라타

 

카메라타란 16세기 말 피렌체에서 인문주의자, 음악가, 시인, 철학자들이 모여 예술, 음악에 대해 논의했던 자리이다. 여기에 모인 사람들은 고대 그리스 스타일의 예술 형식을 복원하고자 모였다. 바흐와 모차르트는 이 곳에서 영향을 받아 유명한 음악 작품을 작곡하는 등 예술과 미래에 대한 활발한 토론을 이어나갔다.

 

카메라타의 성공 요인

  1.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서로 공유하고 있었다.
  2. 서로의 지식을 공유했다.
  3. 끊임없이 진화하고 상호 연결되는 시스템이었다.
  4. 비판적인 피드백을 주고받았다.

 

창의적 아이디어가 발현되는 환경

 

창의적인 사람들이 모였기 때문에 팀에서 아이디어가 나오게 되는 걸까? 아니면 창의적인 환경이 되었기 때문에 아이디어가 나오게 되는 걸까? 아마 둘 다 아닐까.. ㅎㅎ

 

내 아이디어를 설명하더라도 이 아이디어가 그냥 휘발된다면?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오기만 한다면 그냥 흩어져 버리고 끝날 가능성이 높다.

아이디어가 없거나 너무 많아도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이어지기 어렵다. 아이디어가 확산되려면 둘의 극단 사이에 유동적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때로는 시대를 너무 앞서나간 아이디어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아이디어가 나오고 창의적이라고 받아들여 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피카소의 입체파 미술이 자리잡기까지는 수년이 걸렸다. 귀스타브 쿠르베의 세상의 기원이라는 작품은 받아들여지기까지 한 세기가 넘게 걸렸다.

 

창의적인 동료들과 함께 있을 때 더 창의적이게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마치 깨진 유리창 이론과 비슷하다.

 

창의적인 흐름이 방해받을 때

오래된 코드를 기술 부채라고 부르는 것 처럼, 개발 팀의 잘못된 커뮤니케이션을 사회적 부채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더 나은 접근 방식을 취했어야 하는 데, 쉬운 방법으로 일을 처리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팀의 창의적인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사회적 부채를 저자는 코드 스멜이라는 용어에 착안하여 커뮤니티 스멜이라고 부른다.

 

사회적 부채에 대해 정의하기

팀 안에서 여러한 상황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부채가 존재할 수 있다. 우리는 팀으로 일하기 때문에, 때로는 코드 스멜보다 커뮤니티 스멜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어쩌면 커뮤니티 스멜이 코드 스멜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문제 상황에 대한 이름을 부여하는 것으로 시작해보자.

  • 시간 왜곡: 커뮤니케이션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 주고 조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잘못 생각하게 만든다.
  • 인지 차이: 동료 간에 인지되는 차이로 불신, 오해, 시간 낭비 유발
  • 신규 팀원 무임승차: 신입 팀원을 혼자 남겨 두어 높은 업무 부담을 유발한다.
  • 권력 간격: 책임감이 낮은 팀원이 권한을 더 많이 가진 팀원에 대해 인식하고 수용하고 기대하는 간격으로 지식 공유를 방해한다.
  • 비관여: 제품이 성숙하지 않은데도 출시할 수 있을 만큼 성숙했다고 생각한다.
  • 까다로운 구성원: 극도로 까다롭고 무의미할 정도로 정확성을 추구하여 불필요한 지연을 초래한다.
  • 요리책 개발: 자신의 방식에 갇혀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아이디어에 적응하기를 거부하는 프로그래머
  • 제도적 동일성: 팀 간 프로세스를 강제로 동일하게 만들려고 할 때 협업의 저할르 가져옴
  • 과잉 커뮤니티: 불안정한 아이디어 환경으로 인해 버그가 많은 소프트웨어를 생성한다.
  • 고독한 늑대: 다른 사람의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독단적으로 행동하는 팀원

사회적 부채에서 벗어나기

사회적 부채에 대해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그 사람에게 책임을 묻는 것이 아니라 그룹으로서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페어 프로그래밍을 활용하는 것이다. 페어 프로그래밍을 하면 자연스럽게 코드에 대한 공동 책임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집단 학습을 통해 통찰력을 촉진하고, 더 높은 품질의 코드를 작성한다.

반응형